1. 감열식 프린터(1972년) : 코팅된 감열지를 선별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종이에 열 인쇄 헤드를 통과할 때 앤쇄물을 출력하는 디지털 인쇄 과정의 하나. 코팅은 가열된 부분에만 감정색으로 바뀌어 상을 만들어낸다. 2색 직접 감열식 프린터를 검은색 및 추가색 (종종 빨간색) 을 인쇄할수 있으며, 2개는 다른 온도로 열을 적용함으로써 구현된다. 열전사 인쇄는 감열지가 아닌 열 감지 리본을 사용하기 때문에 감열식 인쇄와 방식이 매우 다르지만 비슷한 열 인쇄 헤드를 사용한다. (1)프린터 :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의 복사본을 만드는 컴퓨터 출력 장치. (2) 라인 프린터 : 한 번에 한 줄씩 인쇄하는 고속 출력 장치. 1분에 2500행 정도의 인쇄가 가능. 인쇄하는 벙법에는 드럼식과 체인식이 있는데, 드럼식은 문자가 배열되어 있는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원하는 활자가 인쇄 위치에 왔을 때 해버로 두들겨 인쇄하는 방식. (3) 데이지 휠 프린터. (4) 열전사 인쇄 : 리본 코팅을 녹여서 종이 등에 자재에 물질을 적용하여 인쇄가 적용되는 영역에 물질의 접착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디지털 인쇄 과정의 하나. 1) 색 열전사 프린터 : 왁스 기반 잉크를 종이에 달라붙게 하여 색 이미지 출력에 사용할 수 있다. 2) 텍트로닉스 / 제록스 고체 잉크 프린터 : 고체 잉크 또는 페이저 프린터가 텍트로닉스 ( 오실로스코프( 특정 시간 간격의 전압 변화를 볼 수 있는 장치. 주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전자 신호를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기기를 활용하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를 주기적이고 반복저긴 하나의 전압 형태로 파악할 수 있다.)논리 분석기 (또는 로직 애널라이저는 디지털회로 또는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어려개의 디지털 신호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원하는 시점에 표시장치에 쵸시하는 전자 계측기, 비디오 및 모바일 테스트 프로토콜 장비와 같은 테스트 및 측정 장치 제조로 가장 잘 알려진 미국 회사.)에 의해, 나중에는 제록스에 의해 개발 됨. 3) 이용 : 바토드 레이블 또는 옷 레이블 표시를 포함한다. 화학 용기를 위한 플라스틱 레이블 인쇄. 바코드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4인치, 6인치,8인치 너비의 고정 크기로 출시 된다. 수많은 제조업체들이 과거에 여러 크기로 출시 하였으나, 대부분이 이러한 크기들로 표준화하고 있다. 프린터의 주된 이용은 제품 및 배송 식별을 위한 바코드 레이블을 만들기 위함이다. 2. 잉크젯 프린터(1976년) : 잉크를 분사하거나 잉크를 뭉쳐서 분사하는 프린터. 과거 흑백 잉크젯 프린터만 있었지만, 지금은 컬러 잉크젯 프린터도 사용한다. 잉크젯 인쇄의 개념은 1950년대 초에 기술이 처음 개발된 20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0년대 말에 컴퓨터가 만들어내는 디지털 이미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리너 엡손, 휴렛 패커드, 캐논을 통해 출시 되었다. 3. 3차원 인쇄 (1984년) (3D): 연속적인 계층의 물질을 뿌리면서 3차원 물체를 만들어내는 제조기술. 밀링 또는 절삭이 아닌 기존 잉크젯 프린터에서 쓰이는 것과 유사한적층 방식으로 입체물로 제작하는 장치를 말하며 컴퓨터로 제어되기 때문에 만들수 있는 형태가 다양하고 다른 제조 기술에 비해 사용하기 쉽다. 3차원 인쇄 기술은 제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며, 산업 전반에 걸쳐 제조 기술의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 3D 프린터의 다양한 활용 분야 : 실제 개발된 사례를 보자면 여성경찰 보호복 패턴을 개발하는데 쓰였는데 이는 3D 프린터가 아니어도 개발될 수 있었을 것이나. 이 뿐만 아니라 옷의 패턴개발에 많은 발전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 하나를 보자면 용접이나 정형외과 분야에서도 3D프린팅 기술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건축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2) 종류 : 일잔적으로 가공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1) 적층제조 : 가루나 액체 형태의 재료를 굳혀가며 한 층씩 쌓는 방식. (2) 절삭제조 : 재료를 공구로 깎아가며 모양을 만드는 방식으로, 공구의 모양과 절삭 방법에 따라 만들 수 있는 기하 형태에 한계가 있다. 2) 제작 프로세싱 : (1) 모델링 : 일반적으로 CAD또는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차원 데이터를 완성하며, 3D 스캐너를 이용해 3차원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2) 프린팅 : 기계가 모델링 과정에서 만들어진 도면을 이용해 물체를 만들어내는 과정. (3) 후처리 : 인쇄된 결과물에 대해서는 필요할 경우 마무리 공정이 추가되기도 한다. 사포로 연마하거나, 색칠하거나, 인쇄된 파트들을 조립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4. 광조형법 (1986년) : 3D 프린팅의 기초 기술 중 하나로, 광경화성 수지에 UV레이저를 조사하여 입체 형태를 만드는 방식. 1) 특징 : (1) 설계, 시제품 제작, 완제품 대량생산에 필요한 시행착오를 컴퓨터로 통합해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 기능성 세라믹 구조, 고분자 리소그래픽 등의 제작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디지털 인쇄 (1991년) : 디지털 기반 이미지로부터 다양한 매체에 직접 인쇄하는 방식. 1) 색 관리 : 디지털 영상 시스템에서 이미지 스캐너, 디지털 가메라, 모니터, TV화면, 필름 프린터, 컴퓨터 프린터와 같은 여러 장치의 색 표현 간 전환을 가리킨다. 2) 디지털 화상 처리 :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화상 처리를 수행하는 것. 디지털 신호 처리의 하위 분야로 디지털 영상 처리는 아날로그 영상 처리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다. 3) 디지털 사진 :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화로(ADC)에 연결된 전자 광거물기 배열이 포함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 필름에 노풀하는 것과 달리 렌즈로 초점을 맞춘 이미지를 생성한다.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 예술의 장르 (0) | 2025.03.06 |
---|---|
예술기법 (0) | 2025.03.05 |
인쇄의 역사 2 (0) | 2025.03.03 |
시각예술 (정크아트), 인쇄의 역사 1 (0) | 2025.03.02 |
디지털 아트와 종류 1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