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계 공간 (리미널 스페이스) : 인터넷 미학에서 으스스하고 쓸쓸하며 종종 초현실적으로 보이는 비어 있거나 버려진 장소. 경계 공간은 일반적으로 경계의 개념과 관련된 변화의 장소. 1) 환경 심리학 재널 : 연구에 따르면 경계 공간은 건축과 물리적 장소의 기괴한 계곡에 속하기 때문에 으스스하거나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 2. 글리치 아트 : 디지털 데이터를 손상시키거나 전자 장치를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미학적 목적으로 디지털 혹은 아날로그 오류를 사용하는 관행. 렌 라이의 영화 어 컬러 박스( 1935년 ), 백남준의 비디오 조각 작품 TV 마그넷(1965), 코리 아크에인절의 파나소닉 TH-42PWD8UK 플라스마 스크린 번(2007)과 같은 현대 작품과 같은 시각 예술. 1) 역사 : 특히 소프트웨어, 비디오 게임,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및 기타 디지털 가공물에서 실험적/잡음/일렉트로니카 장르를 설명하기 위한 발생하는 오작동으로 인한 예상치 못한 결과이다. 다른 시각예술가들이 글리치를 디지털 시대의 미학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면서 글리치 아트는 시각예술의 총제를 지칭하게 되었다. (1) 상의 일그러짐 (상의 왜곡) : 광학 수치의 하나. 다른 수치가 화상의 초점 선명도와 관계가 있지만, 왜곡은 화상의 초점 선명도와 관계가 있겠지만, 왜곡은 화상의 전체적인 모양과 관련이 있다. 왜곡은 이상적인 상의 위치를 벗어난 거리에 대한 이상적인 상의 높이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피사체의 정확한 상과 같지 않은 실패형이나 원통형 효과를 보여준다.
(1) 화각 ( 사진술 ) : 렌즈를 통해서 사진기가 이미지를 담을 수 있는 각. (2) 디스토션 : 전기 회로 및 전송로에 있는 계의 비선형적 응답에 따라 입, 출력의 파행이 서로 유연한 곡선으로 교차하지 않는 현상. (2)-(1) 위신호 현상 : 신호 처리에서 표본화를 하는 가운데 각기 다른 신호를 구별해 내지 못하게 하는 효과. (2)-(2) 페이딩: 단시간 내에서 일어나는 전하의 감쇠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발생된다. 전파의 반사, 산란 등으로 인해 전파의 경로가 여러 경로로 흩어지는 것을 다중 경로페이딩이라 하며 다중 경로로 인해 지연 확산이 발생하며, 신호의 왜곡을 발생시킨다. (3) 손실 압축 : 정보기술 분야에서 자료를 전달하고 표현할 때 원래 데이터를 일부 손실하여 압축하는 것을 의미. 소리, 영상,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하는 데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특히 스트리밍 미디어와 인터넷 전화 등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많이 사용된다. 무손실 압축은 텍스트로 된 파일, 그리고 은행 기록과 같은 데이터 파일에 선호되며, 복수의 사본을 생성하여 작업해야 하는 원본 파일을 다룰 때 이용된다. 2. 바이오 아트 : 인간이 살아있는 조직, 박테리아, 살아있는 유기체, 생명 현상으로 만드는 예술. 생명공학과 같은 과학적 과정을 사용하여 예술 작품은 실험실, 갤러리, 예술가의 스튜디오 등에서 제작된 된다. 종종 충격적이거나 유머러스한 것을 의도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새로운 매체에서 예술가로 분류되지만, 작품내의 실제 매체는 분자 구조 등에 속하기 때문에 과학자로도 볼 수 있다. (1) 컴퓨터 아트 : 컴퓨터의 기능을 음향, 그래픽 영상작품 등에 이용하는 예술. 1960년에 이르러 플로터가 보급됨에 따라 미술가들이 그래픽이나 애니메이션에 응용하고, 음극선관 ( 또는 브라우관이라고도 한다. 하나 이상의 전자총과 인광 화면을 포함하는 진공관으로, 영상을 표시하는데 사용) 을 사용한 화상표시의 보급에 힘입어 채색화면을 보면서 수정, 가필이 가능해져 아날로그적 감성표현이 진행되고 있다. 3. 장식예술 : 아릅답고 기능적인 물건을 디자인하고 제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예술 혹은 공예. 건물 인테리어 및 인테리어 디자인을 위한 물건을 만드는 대부분의 예술이 표함되지만 일반적으로 건축은 제외함. 도자기 예술, 금속 세공품, 가구, 보석류, 패션, 다양한 형태의 섬유 예술 및 유리 제품이 주요 그룹이다. 1) 예술지상주의 : 생명을 위한 예술에 대해서 예쑬을 위한 예술을 주장하는 입장. 인생을 위해서 봉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美에만 중점으로두어야 하며, 그 자신의 미적 완성이 유일한 목적이라고 하는 예술의 자율성을 극단적으로 존중하는 태도임. 2) 응용미술 : 미술을 일용품이나 행사 등에 응용하는 것 또는 이 과정을 의미하며 예술 작품이 아닌 실생활에 주로 쓰이는 물건을 만들거나 꾸미는 미술이며 실제적인 효용에 목적을 둔 미술. 디자인과 장식을 접목하며, 장식 미술과 비슷하지만 별도의 개념으로 여겨짐. 산업디자인, 시각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패션 디자인, 인테리어 디자인, 장식 미술, 실용 미술 등의 분야는 응용 미술로 간주되고, 도자기, 직물, 보석, 유리제품, 가구, 장난감, 자동차, 일렉트릭 기타, 영화의 포스터, 오래된 광고 등 상업적인 환경에서 다양한 형식 이미지 등이 수집 대상이 된다. 3) 미술 : 공간적 또는 시각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예술, 공간예술 조형예술 등으로 불림. 사람의 감정이나 뜻을 나타내는 예술의 한 종류. 4) 산업 디자인 : 대량생산하는 공업 제품에 적용되는 디자인. 산업생간에 의한 제품 및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창조를 위한 가치, 기능, 외관, 설계를 만들어내어 사회 문화, 기업 , 사용자의 상호 이익을 최적화하는 디자인을 만들어 내는 전문적인 일 ( 시각 디자인. 제품 디자인 ) 4. 카툰 (만화 )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한 컷 짜리 시사 풍자 만화. 일반적으로 비현실적이거나 반현실적인 스타일로 그려지고 자주 애니메이션되는 시각 예술의 한 유형. 의미가 발전했지만 현대적인 사용법은 인반적으로 다음 중 하나를 나타내는데 풍자, 캐리커처 또는 유머를 위한 이미지 또는 일련의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을 위한 일련의 삽화에 의존하는 영화, 첫번째 의미에서 카툰을 만드는 사람을 카투니스트라 한다. 또는 애니메이터라고 한다. 5. 카프리치오 (예술 ) : 건축물, 고고학적 유적지 및 기타 건축적 요소를 조합하여 허구적이고 혀황되게 그린 그림. 보다 일반적인 용어로 풍경화에 속하며 이에 따라 점경인물 ( 동양의 산수화에 등장하는 간단하고 작게 묘사된 그림 속 인물상),을 그려 넣기도 한다. 르네상스 시대에 도입되었으며 바로크 시대까지 이여졌다. 1) 스타일 : 여러가지 어원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어린 염소를 예측할 수 없는 움직임과 행동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카프레토'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예술적 스타일은 예측 불가능하고 상상력에 따라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다느 것을 암시한다. 6. 프롱프뢰유 : 2차원 공간에 3차원 공간과 사물을 매우 사실적인 착시를 통해 옮기는 미술 기법. 회화에서 관람자로 하여금 표현된 공간이나 사물을 사실로 착각하게끔 하는 기법이다. 건축에서는 인위적 원근법이 있다. 7. 팬 아트 : 허구에서 팬들에 의해 등장인물 등의 측면에서 원작과 달라진 미술 작품. 등장인물, 의상, 상품, 이야기 등을 따라 그리거나 이야기를 창작하기도 한다. 1) 형태 :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웹 배너, 아바타, 그래픽 디자인, 웹 애니메이션, 사진 모음, 포스터, 원작에서 나온 대사들이나 등장인물들을 재해석하여 예술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을 만들 수 있다.
관심사
시각 예술의 장르
반응형
반응형